MY MENU

한방자료실

제목

허준선생은 왜 東醫라 했나 (-펌)

작성자
관리자
첨부파일0
추천수
0
조회수
1949
내용
집례(集例)

어의충근정량호(御醫忠勤貞亮扈) 성공신종록대부(聖功臣崇祿大夫) 양평군(陽平君) 신 허준(臣許浚) 하교(下敎) 받들어 지음

신이 삼가 생각건대 인체의 구성은 안으로 5장 6부(五臟六腑)가 있고, 밖으로 근골(筋骨), 기육(肌肉), 혈맥(血脈), 피부(皮膚)가 있어서 그 형태를 이루고, 정(精), 기(氣), 신(神) 또한 장부(臟腑)와 백체(百體)의 주(主)가 되는 것이므로 도가(道家)의 ‘삼요(三要)’와 석씨(釋氏, 불가)의 ‘사대(四大)’가 바로 이것을 말함이다. 도학(道學)의 서(書) 『황정경(黃庭經)』에도 내경에 관한 글(文) 이 있고, 의서에도 역시 『내외경상지도內外境象之圖)』가 있으니 도가는 청정(淸靜)과 수양(修養)으로써 생의 근본을 삼고, 의가는 약이나 침구로써 치료의 법칙을 삼았으니, 그러고 보면 도가는 자상하게 심신의 전체를 다룬 셈이요, 의가는 거칠게 구체적인 부분만을 다루는 셈이다.
이제 이 책에서도 먼저 내경의 정, 기, 신과, 장부를 넣어서 「내경편」으로 하고, 다음에 외경의 두(頭), 면(面), 수(手), 족(足), 근(筋), 맥(脈), 골(骨), 육(肉)을 가지고「외형편」으로 하였다. 또 오운(五運), 육기(六氣), 사상(四象), 삼법(三法), 내상(內傷), 외감(外感) 등 모든 병의 병례(病例)를 따서 「잡병편」으로 하고 끝으로 탕액, 침구를 말편으로 함으로써 그 주변성을 다하여 병인(病人)에 쓰게 하였다.
이 책을 펼쳐 보면 허실(虛實), 경중(輕重), 길흉(吉凶), 사생(死生)의 징조가 수면에 물체가 비쳐 보이듯이 환하다. 허망한 치료로 요절하는 환회(患悔) 없기를 바라 마지않는다.
옛사람들의 처방(藥方)은 거기에 들어가는 약재의 중량(重量)이 너무 많아서 아주 곤란하다. 비용(備用) 국방(局方) 일제(一劑)의 수(數)가 더욱 많으니 빈한(貧寒)한 집들에서 어찌 이런 것을 갖출 수 있으리오. 『득효방得效方)』과 『의학정전(醫學正傳)』에는 모두 5전(五錢)으로 하였는데, 그것은 심히 경솔하고 터무니없는 일이다. 대개 한 처방에 그저 4, 5종이면 5전도 가하지만, 2, 30종이나 되는 약제라면 1재(一材)가 겨우 1,2분중(分重) 밖에 못 들어가므로 함량(性味)이 적어서 어찌 소기(所期)의 효과를 바랄 수 있으랴. 이 근자에 나온 『고금의감(古今醫鑑)』과 『만병회춘(萬病回春)』에는 약 1첩의 분량을 7,8전 혹은 1냥까지로 하였는데, 이것은 약미(藥味)가 완전하고 다과(多寡)가 알맞아서 금세인(今世人)의 기품(氣稟)에 합치되므로 이 책은 모두 이 표준에 따라 1첩으로 만들어 제용(劑用)에 편리하게 쓰도록 하였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의술을 배우려면 먼저 본초학(本草學)을 읽어서 약성(藥性)을 알라”고 하였으나 본초(本草)는 활번(活繁)하고, 제가(諸家)의 의론이 일치하지 않고, 지금 사람으로서는 알지 못할 약재가 그 반이나 된다. 방금 행용(行用)하는 것을 뽑는 데는 신농본경(神農本經, 본초) 및 일화자주(日華子註, 송조(宋朝)간행의 일화자본초(日華子本草))와 동원(東垣, 원조(元朝) 이고(李 )) 단계(丹溪, 원조(元朝) 주진형(朱震亨))의 요어(要語)와 또 당약(唐藥)과 향약(鄕藥)에 적혀 있는 것을 고용(考用)하는데, 향약(鄕藥)인즉 향명(鄕名)과 더불어 산지(産地) 및 채취하는 시월(時月), 음양 건정(乾正)하는 법이 씌어져 있으므로 이용하기가 쉽고, 멀리서 구해 온다든지 얻기 어렵다든지 하는 폐단이 없다.
왕절제(王節齊)가 말하기를 “동원 이고는 북방의자(北方醫者)인데 나겸보(羅謙甫)가 그 법을 전함으로써 강절(江浙)지방에 알려졌고, 단계 주진형(朱震亨)은 남의(南醫)인데 유종후(劉宗厚)가 그를 배움으로써 섬서(陝西)지방에서 이름났다”고 하였은즉 의(醫)에는 남북으로 부르는 이름이 있다.
우리나라는 구석진 동방에 있고, 의약의 연구가 줄기차게 계속되고 있은즉, 우리나라의 의는 ‘동의(東醫)’라고 일러야 옳을 것이며, 또 감(鑑)이라 함은 ‘만물을 환히 비쳐서 그 형태를 놓치지 않는다’는 뜻이거늘, 원조(元朝) 나겸보(羅謙甫) 저서에 『위생보감(衛生寶鑑)』이 있고, 명조(明朝) 공신( 信) 저서에 『고금의감(古今醫鑑)』이 있는데, 다 감(鑑)으로써 이름한 뜻이 여기에 있다.
이제 이 책을 펼쳐서 한번 보면 길흉(吉凶) 경중(輕重)의 환함이 거울과 같으므로 드디어 『동의보감』이라고 이름을 부쳤는데, 이것은 옛사람들의 유지를 본받은 것이라고도 하겠다

허준은 조선의학을 하나의 독립된 의학이라는 의미에서 이 책의 이름을 < 동의보감>이라 명명(命名)하였다(허준이 쓴 '집례' 참조). 그는 중국의학을 북의(北醫)와 남의(南醫)로 나누고 조선 의학을 동의(東醫)라 하였는데, 이는 조선에서도 독자적으로 의학을 연구·발전시켜 왔으며 조선 의학이 중국과 대등한 전통과 수준을 지니고 있음을 주체적으로 내포하고 있는 서명(書名)인 것이다.
0
0

게시물수정

게시물 수정을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댓글삭제게시물삭제

게시물 삭제를 위해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